당뇨병 진단 기준: 혈당 수치의 주요 지표

당뇨병 진단 기준: 혈당 수치의 주요 지표

당뇨병은 혈액 내 포도당(혈당) 수치가 정상 범위를 넘어선 상태를 말하며, 진단은 주로 혈당 수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혈당 검사에는 공복혈당, 식후혈당, 그리고 당화혈색소(HbA1c) 검사가 포함되며, 각 항목별로 당뇨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치가 다릅니다. 아래는 주요 혈당 수치 기준입니다.


1. 공복혈당(Fasting Plasma Glucose)

  • 정상:
    공복혈당이 70~99 mg/dL일 경우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 당뇨 전단계:
    공복혈당이 100~125 mg/dL일 경우, 당뇨 전단계(공복혈당 장애)로 분류됩니다. 이는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식후혈당(2시간 혈당 또는 식후 혈당)

  • 정상:
    식후 2시간 혈당이 140 mg/dL 미만일 경우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 당뇨 전단계:
    식후 혈당이 140~199 mg/dL일 경우, 당뇨 전단계(내당능 장애)로 분류됩니다.
  • 당뇨병:
    식후 혈당이 200 mg/dL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3. 당화혈색소(HbA1c)

  • 정상:
    HbA1c가 5.6% 이하일 경우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 당뇨 전단계:
    HbA1c가 5.7%~6.4%일 경우, 당뇨 전단계로 분류됩니다.
  • 당뇨병:
    HbA1c가 6.5% 이상일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장기 관리 목표:
    이미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경우, HbA1c를 7.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임의 혈당(Random Plasma Glucose)

  • 정상 및 기준 없음:
    임의 혈당은 특정 시간에 상관없이 측정한 혈당을 의미합니다. 보통 200 mg/dL 미만이 정상 범위로 여겨지지만, 진단 기준으로 단독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 당뇨병 가능성:
    임의 혈당이 200 mg/dL 이상이면서 당뇨병 증상(다음, 다뇨, 설명되지 않는 체중 감소)이 있을 경우, 당뇨병 진단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5. 결론적으로,

공복혈당, 식후혈당, HbA1c 등의 주요 지표를 통해 당뇨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각 항목별 기준치를 숙지하고 정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