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면제 한도액 총정리 (2024년 기준)

상속세 면제 한도액 총정리 (2024년 기준)

– 누구까지 얼마나? 인적공제부터 금융재산 공제까지 완벽 해설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사망하면서 발생한 재산을 상속인에게 이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모든 상속에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아니며, 상속세법상 일정 금액까지는 공제를 통해 세금이 면제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속세 면제 기준이 되는 공제 항목별 한도액과 실제 적용 방법, 그리고 면세 범위 내에서 합법적으로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까지 알려드립니다.


1. 상속세 기본공제: 5억 원까지 무조건 공제

항목 내용

기본공제 상속인이 누구든 기본적으로 5억 원까지는 세금이 면제됩니다.
조건 피상속인이 대한민국 거주자일 것
예시 상속재산이 4억 5천만 원이면 상속세 없음

✅ 이 기본공제는 별도의 요건 없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가장 큰 공제 항목입니다.

 

2. 배우자 상속공제: 최대 30억 원까지 추가 공제 가능

배우자 상속공제 설명

원칙 배우자가 재산을 상속받을 경우, 배우자 몫에 대해 추가 공제 적용
공제한도  
  • 상속재산의 배우자 몫 또는
  • 최대 30억 원 중 적은 금액까지 공제

✅ 예시

  • 전체 상속재산: 20억 원
  • 배우자 몫: 10억 원
    → 배우자에게 10억 원 공제 적용, 총 공제는 기본공제 포함 최대 15억 원 가능
 

3. 금융재산 상속공제: 최대 2억 원까지

항목 내용

금융재산공제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등 금융자산 상속 시 공제
공제금액 금융재산가액의 20%, 최대 2억 원 한도
조건 상속재산 중 금융자산의 비율이 클 경우 혜택 큼
 

4. 그 외 추가 공제 항목

공제명 공제 금액 조건

동거주택 상속공제 최대 6억 원 10년 이상 동일 주택에 거주한 상속인
미성년자 공제 최대 5천만 원 + 1년당 1천만 원 19세 미만 자녀에게 상속할 때
장애인 공제 최대 20억 원 장애인 상속인에게 1년당 1천만 원씩
부담부 증여에 따른 채무 공제 부채만큼 공제 상속 시 피상속인의 채무도 공제 가능

📌 모든 공제는 중복 적용 가능, 단 사망보험금은 보험금 공제 500만 원 × 상속인 수만 적용

 

5. 상속세 면제 한도 종합 예시

💡 예: 배우자 + 자녀 2명 상속 시

  • 총 상속재산: 12억 원
  • 배우자 몫: 6억
  • 금융재산: 3억
  • 자녀 중 1명 미성년자

공제 항목 금액

기본공제 5억
배우자 공제 6억
금융재산 공제 3억 × 20% = 6천만 원
미성년자 공제 (19세까지 5년 남음) → 5천만 원

→ 총 공제액 약 12억 1천만 원 → 상속세 없음


6. 상속세 면제 팁 요약

✅ 상속세는 10년 내 증여분까지 합산되므로, 생전 증여 관리도 중요
공제 항목을 잘 조합하면 실질적인 면세 가능
배우자에게 많은 몫을 몰아주는 전략이 세금 절세에 효과적
✅ 상속세 신고는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 (해외 거주 시 9개월)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사 상담 통해 공제 계산 권장


✅ 결론: 상속세는 ‘무조건 내는 세금’이 아닙니다. 공제 규정을 알면 줄일 수 있습니다

✔ 기본공제만으로도 5억 원까지는 무조건 면세
✔ 배우자 상속 시 최대 30억까지 공제 가능
✔ 금융자산, 미성년자, 장애인 등 상황별 공제 활용 중요
✔ 생전에 재산 분산 전략을 잘 세우면 세금 없이 상속 가능

📌 “상속세는 지식이 절세입니다. 면제 기준을 정확히 알고, 현명하게 준비하세요.”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