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 골감소증 총정리: 원인부터 진단, 치료, 예방까지
- 카테고리 없음
- 2025. 3. 23. 07:04
인기 글
대퇴골 골감소증 총정리: 원인부터 진단, 치료, 예방까지
대퇴골 골감소증은 대퇴골(허벅지 뼈)의 골밀도가 정상보다 낮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골다공증으로 진행되기 전 단계로, 뼈가 약해져 골절 위험이 점차 증가하는 상태이므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생활 관리, 약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대퇴골은 고관절 부위와 연결된 체중 지지 뼈이기 때문에 골절이 발생하면 보행 불가, 수술, 장기 재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대퇴골 골감소증이란?
항목 설명
정의 | 대퇴골의 골밀도(T-score)가 -1.0 ~ -2.5 사이일 경우 |
진단 기준 (WHO) |
- T-score ≥ -1.0: 정상
- -1.0 ~ -2.5: 골감소증 (Osteopenia)
- ≤ -2.5: 골다공증
| 측정 부위 | 대개 **대퇴골 경부, 대퇴골 전체, 요추(허리뼈)**를 측정
| 진단 방법 |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DXA, DEXA) 검사
📌 대퇴골은 고관절 골절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골감소증 단계부터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원인 및 고위험군
원인 설명
✅ 노화 | 폐경 후 여성, 고령자에서 골흡수 증가 |
✅ 호르몬 변화 |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감소,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저하 |
✅ 영양 부족 | 칼슘, 비타민 D, 단백질 부족 |
✅ 운동 부족 | 체중 부하 운동이 적을수록 뼈 자극 감소 |
✅ 흡연과 음주 | 골세포 기능 억제 |
✅ 만성질환 또는 약물 | 갑상선 항진증, 류마티스, 스테로이드 장기복용 등 |
📌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 65세 이상 노인, 체중이 적은 사람은 고위험군으로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3. 증상은 거의 없지만 골절 위험은 높다
구분 내용
자각 증상 | 없음. 대부분 골절이 발생하고 나서 발견 |
골절 위험 부위 | 대퇴골 경부(고관절), 손목, 척추 |
골절 시 문제 |
- 대퇴골 골절 시 수술 필요, 회복에 6개월~1년
- 고령자의 경우 보행불능, 폐렴, 사망률 증가
📌 **골감소증은 '무증상의 진행성 질환'**입니다. 골절되기 전에 발견해 예방해야 합니다.
4. 치료 및 관리 방법
항목 내용
✅ 생활습관 개선 |
- 체중 부하 운동: 걷기, 계단 오르기, 요가 등 주 3~5회
- 금연, 금주, 낙상 예방 환경 조성
| ✅ 영양 섭취 | - 칼슘: 1일 1000~1200mg (우유, 치즈, 뼈째 생선 등)
- 비타민 D: 1일 800~1000IU (햇볕, 보충제)
- 단백질: 체중 1kg당 1.0~1.2g
| ✅ 약물 치료 (필요 시) | - 비스포스포네이트: 본비바, 포사맥스 등 → 뼈 흡수 억제
- SERM 제제: 에비스타 등 → 여성호르몬 유사 작용
- 활성형 비타민 D 제제: 칼시트리올, 알파칼시돌
- 호르몬 대체요법: 폐경 여성에 한해 고려
📌 골다공증으로의 진행 속도가 빠르거나 골절 위험이 높은 경우,
의사 판단에 따라 약물 치료를 시작합니다.
5. 골절 예방을 위한 실천 팁
항목 실천 방법
🏠 낙상 방지 환경 조성 | 집안 미끄럼 방지 매트, 손잡이 설치 |
🧦 미끄럼 방지 양말, 실내화 착용 | 노인층에 효과적 |
☀️ 햇빛 노출 | 하루 20~30분 산책 → 비타민 D 생성 |
🏋️♀️ 체중 부하 운동 지속 | 근육 강화 + 골밀도 증가 |
🩺 정기 골밀도 검사 | 1~2년에 한 번 |
✅ 결론: 대퇴골 골감소증은 증상이 없어도 반드시 조기 관리가 필요합니다
✔ 골감소증은 골다공증의 전 단계로, 예방이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 칼슘·비타민 D 섭취와 운동은 모든 환자에게 기본 필수
✔ 골절이 생기기 전 진단 → 생활 관리 or 약물치료 병행이 최선
✔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와 주치의 상담을 통해 진행 여부 확인 필요
“지금 관리하면 골절을 막을 수 있습니다. 뼈는 조용히 약해지기 때문에 먼저 알아채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