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 경화증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 원인부터 치료까지 정리

사구체 경화증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 원인부터 치료까지 정리

사구체 경화증은 신장(콩팥)의 필터 역할을 하는 **사구체(glomerulus)**라는 구조가 손상되고 딱딱하게 굳어지는 만성 신장질환입니다. 정식 명칭은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이며, 이로 인해 단백뇨, 부종, 고혈압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신부전(신장기능 상실)**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1. 사구체 경화증이란?

구분 설명

사구체 신장에서 혈액을 걸러 노폐물과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필터 역할
경화증 사구체 일부가 딱딱하게 굳고 기능을 잃는 상태 (국소적·부분적)
FSGS 국소(focal) + 분절(segmental) + 경화증(sclerosis)
→ 일부 사구체의 일부 구역이 딱딱하게 손상된 상태  
 

2. 주요 증상

증상 특징

단백뇨 가장 특징적인 증상 / 하루 3g 이상 단백질 소변 배출
전신 부종 특히 눈 주변·발목·다리에 부종 발생
거품뇨 단백뇨가 심하면 소변에 거품이 많이 생김
고혈압 신장 손상으로 혈압 조절 기능 약화
신기능 저하 혈중 크레아티닌 증가, 사구체여과율(GFR) 감소
 

3. 원인 구분

✅ 1) 일차성(원발성) FSGS

  • 자가면역 이상 또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
  • 대부분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음
  • 소아, 젊은 성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음

✅ 2) 이차성(속발성) FSGS

원인 설명

비만, 당뇨병, 고혈압 신장에 만성적인 부담이 누적되어 사구체 손상 초래
약물 특정 약물(예: 리튬, 스테로이드, 항암제 등) 부작용
감염 HIV, B형 간염, 말라리아 등 감염으로 유발 가능
유전성 질환 콜라겐, 신장 관련 단백질 이상 유전자 보유 시
 

4. 진단 방법

검사 목적

소변 검사 단백뇨, 혈뇨 여부 확인
혈액 검사 크레아티닌, 알부민 수치 / 사구체여과율(GFR) 확인
신장 초음파 구조적 이상 유무 확인
신장 조직검사(생검) 확진을 위해 필수 / 현미경으로 사구체 손상 확인
 

5. 치료 방법

✅ 1) 약물 치료

약물 설명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 등) 면역 억제로 염증 완화 / 원발성 FSGS에 효과적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등 / 스테로이드 저항 시 사용
RAAS 억제제 (ACEi, ARB) 단백뇨 감소 + 혈압 조절 효과 (엔알라프릴, 로사르탄 등)
이뇨제 부종 완화
혈압약, 콜레스테롤약 신장 보호를 위한 보조 치료

✅ 2) 생활 관리

관리법 내용

저염식 염분 섭취 제한 → 부종, 혈압 조절에 도움
단백질 섭취 조절 신장 부담 줄이기 위해 과도한 단백질 섭취 피함
체중 관리, 금연 신장 기능 유지에 도움
수분 조절 부종 조절을 위한 적정 수분 섭취 필요

6. 예후와 합병증

항목 설명

신부전 진행 가능성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반복 악화 시 투석 또는 이식 필요
재발 가능성 특히 스테로이드에 반응이 없는 경우 / 이식 후 재발 위험도 존재
심혈관 질환 동반 위험 고지혈증, 고혈압 → 동맥경화, 심근경색 위험 증가

결론 요약

✅ **사구체 경화증(FSGS)**은 신장의 필터 역할을 하는 사구체 일부가 손상되어 단백뇨, 부종, 고혈압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 조기에 발견하면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치료를 통해 완화가 가능하지만, 일부는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꾸준한 치료와 함께 식이조절, 혈압·체중·혈당 관리가 신장 기능 유지의 핵심입니다.

 

Designed by JB FACTORY